본문 바로가기

궁금궁금

보수총액을 계산할 때 비과세 소득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보수총액을 계산할 때 비과세 소득은 포함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과세 소득은 근로자의 소득 중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금액으로, 4대 보험료 산정 시에도 일부 제외됩니다.

 

비과세 소득의 처리 기준

  1. 비과세 소득의 기본 원칙
    보수총액에는 원칙적으로 모든 근로소득이 포함되지만, 법적으로 비과세 대상이 되는 소득은 제외됩니다.
  2. 비과세 소득의 대표적인 항목
    • 식대: 월 10만원까지 비과세
    • 자가운전 보조금: 월 20만원까지 비과세
    • 육아수당: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비과세
    • 생산직 근로자의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일정 요건 충족 시 월 240만원까지 비과세
  3. 비과세 소득과 4대 보험료 산정
    •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 산정 시 비과세 소득은 제외됨
    •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은 일부 비과세 소득을 포함할 수 있음(예: 야간·휴일근로수당)
  4. 보수총액 신고 시 주의사항
    • 비과세 소득을 명확히 구분하여 보수총액에서 제외해야 불필요한 보험료 부담을 방지할 수 있음
    • 비과세 요건 충족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과세소득으로 처리하면 세무 및 보험료 산정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

보수총액을 산정할 때 비과세 소득을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사업장과 근로자 모두에게 중요한 절차입니다. 이를 위해 매월 급여명세서를 확인하고, 관련 법규를 숙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The greatest glory in living lies not in never falling, but in rising every time we fall. – Nelson Mandela